
두통이란 무엇인가
두통은 말 그대로 머리의 통증을 말합니다. 두통은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듯 인류의 탄생 이래 가장 오래되고 흔한 질병입니다. 원인으로는 유전에 의한 것과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것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겪은 두통이 지켜봐도 되는지 치료를 해야 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두통은 가벼운 감기몸살부터 뇌암, 뇌종양과 같은 무서운 질병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질환과 증상에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머리 아픈 증상만으로는 병명을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머리가 아프면서 구토, 어지럼증, 무력감, 신체의 불균형, 시력 감퇴 증상이 함께 오거나, 두통이 연속 발생하며 하루 이상 통증이 지속할 때는 응급상황의 가능성이 크므로 검사를 바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통을 유발하는 질환도 있습니다. 뇌종양, 뇌경색, 뇌출혈로 머리가 아플 수 있으며 부비동염(축농증), 목디스크, 턱관절 장애가 있어도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두통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기저질환을 증상이 가라앉습니다.
두통의 종류
일차성 두통 중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는 긴장성 두통, 편두통, 심인성 두통, 군발성 두통이 있습니다. 두통 환자의 80% 이상이 긴장성 두통, 편두통입니다. 긴장성 두통은 주로 젊은 남성에게 발생하며 과도한 스마트폰과 PC 사용으로 상부 승모근과 후두부 근육이 직선이 되는 일자목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긴장성 두통의 특징은 머리가 무겁고 띠를 둘러싸는 것처럼 느껴지며 어깨 쪽 승모근이 굳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두통은 여성에게 많으며 심장이 뛸 때마다 관자놀이 부분이 욱신거리며 아픈 것이 특징입니다. 눈 쪽 부근에 통증이 오는 안구 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두통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며 주로 가족력이나 뇌혈관의 경련을 원인으로 봅니다. 여성이 월경 전후로 편두통을 겪으면 여성 호르몬을 원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전문가 치료가 필요한 두통
진통제 한 알로 두통이 해결된다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겠지만, 두통은 만성이 많으며 동반하는 질환도 다양합니다. 만성 두통은 주의력 저하, 기억력 감퇴로 사회생활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니 전문가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수면 중 두통, 목과 어깨가 만성적으로 결려 생활에 지장을 주는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가 동반되는 두통이라면 반드시 전문가에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두통으로 인한 우울감, 불안감이 가중되는 경우도 꼭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히 머리 아픈 증상으로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두통으로 인한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전문가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두통 해소법
가벼운 두통은 식단조절,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해소를 통해 완화할 수 있습니다. 두통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면 감국차(들국화)를 추천합니다. 감국차는 머리로 올라가는 열을 아래로 내리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꾸준히 섭취하면 도움이 됩니다. 결명자차, 메밀차도 좋은데 이들의 공통점은 차가운 성분이라는 겁니다. 위로 올라가는 열을 내려줍니다. 반대로 두통 시에는 베이컨, 소시지, 치즈, 커피, 알코올 같은 가공식품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통 완화 스트레칭
양손을 펴고 양 팔꿈치를 책상에 댑니다. 손가락을 펴 꽃받침 모양으로 볼을 감싸줍니다. 숨을 들이쉬면서 목을 앞으로 뺍니다. 숨을 내쉬면서 천천히 목을 뒷머리를 뒤로 넣어줍니다. 다시 호흡을 뱉으며 목을 앞으로 뺍니다. 이 동작을 3회를 1세트로 5세트를 하면 목이 편안해지며 두통이 해소됩니다.
두통 완화 지압법
1. 양손을 목 뒤로 놓고 깍지를 낍니다. 깍지를 낀 손을 잡고 목을 뒤쪽으로 기대 힘을 줍니다.
2. 반대로 깍지를 낀 손은 앞으로 힘을 주어 밉니다. 손과 목이 서로 밀고 당깁니다.
3. 엄지손가락을 귀 바로 위에 대고 나머지 네 손가락을 두피에 대고 지긋이 문질러 줍니다.
치료사례
30대 직장맘인 한 여성분입니다. 두통이 처음 시작됐던 건 거의 중학교 다닐 때부터고 긴 시간 통증에 시달린 분입니다. 가족력도 있고요. 그분의 어머님이 두통을 계속 앓고 계셨습니다. 저희 한의원에 오신 후 편두통으로 진단받았는데, 편두통이라는 진단을 처음 받은 게 아니라 이전에 대학병원, 종합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오셨기 때문에 훨씬 더 진단이 쉬웠다고 봅니다. 한의학에서 편두통 치료는 대게 몇 가지로 나뉩니다. 침, 뜸, 약물요법, 상부 승모근을 이완시킬 수 있는 물리 요법, 약침 치료, 경추 추나까지 다양한 치료법을 사용합니다. 이런 방법을 통해 3개월 정도 치료를 하고 80%가 소실되어 만족한다는 기억이 있습니다. 추적해서 보고 있는데 예전처럼 심한 경우는 없었다고 하기에 저도 만족하고 그분도 만족하고 아주 기억나는 사례 중 하나입니다.
40대 남성분입니다. PC작업을 오래 하는 직장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체질 검사, 스트레스 검사를 통해 긴장성 두통으로 진단을 내렸습니다. 긴장성 두통이라고 본 이유는 휴일보다 직장에서 일할 때 스마트폰, 컴퓨터 작업을 많이 했을 때 주로 나타나고 상부 승모근이나 등 근육, 후두부 근육이 굳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긴장성 두통은 한방에서 쓰는 침 치료가 탁월한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육이 긴장해서 신경에 통증 수용체를 활성시켜 통증이 생기는 경우이기 때문에 상부 승모근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주고, 그 부위를 따뜻하게 해서 이완시켜 결과가 좋았습니다.
ⓒavocado.or.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 야채수, 참든건강을 소개합니다 [야채수 01] (0) | 2020.04.27 |
---|---|
한의학으로 본 우울증 (0) | 2020.04.27 |
코로나 스트레스! 불안장애, 건강 염려증까지 유발한다 (0) | 2020.03.18 |
한의학으로 본 소아 ADHD (0) | 2020.02.23 |
한의학으로 본 강박증 (0) | 202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