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증이란 강박사고와 강박 행동이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강박사고는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생각과 장면이 자꾸 떠오르고, 이것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강박 행동은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잭 니콜슨 주연의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에 나오는 남자 주인공 유달이 전형적인 강박증 환자입니다. 로맨스 작가 유달은 아파트 복도에서 강아지가 오줌 싸는 것을 보고 강아지를 쓰레기통에 버리고, 집에 들어갈 때 현관문이 잠겼는지 반복적으로 확인합니다. 손을 씻을 땐 손이 델 정도의 뜨거운 물을 틀며, 늘 새 비누를 꺼내 씁니다. 거리를 걸을 땐 도로 위 어떤 선도 밟지 않으려 하고 매일 똑같은 식당에서 본인이 지정한 서빙 직원에게 응대 받고 본인이 가져온 수저와 나이프만 사용합니다.
확인 강박, 청결 강박, 정리 강박의 전형적 모습입니다. 또한 환자들은 감정표현이 서툰데 그것으로 인간관계가 모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강박증은 한의학적 병명은 아니나 고전을 근거로 한의학적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희(喜), 노(怒), 우(憂), 사(思), 비(悲), 경(驚), 공(恐) 이라는 일곱 가지 감정을 ‘칠정(七情)’이라 부릅니다. 이 칠정이 불안정할 때 질병이 나타날 수 있는데, 그중 생각에 해당하는 ‘사’라는 감정을 제어하지 못하면 강박증 같은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봅니다. 여기서 생각은 단순한 생각 아니고 깊고 과도한 생각을 말합니다.
또한 ‘심허(心虛): 마음이 약하다’라는 용어로 강박증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약한 것은 선천적인 것이며 생각이 많은 것은 후천적인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선천적으로 약한 마음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 있고 스트레스가 많아지면 강박적인 생각에 빠져들기 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고 수면을 잘 취하지 못하며 ‘사려상비(思慮傷脾)’라고 해서 위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과민성장증후군 같은 소화기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생각이 많아 머리를 뜯는 발모광이나 손톱을 물어뜯는 것 또한 강박의 범주에 속합니다.
한의학에서의 강박증 치료법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 정신과 질환을 치료할 때 ‘이정변기요법(移精變氣療法)’나 ‘경자평지요법(驚者平之療法)’,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을 사용하는데 각각 해당하는 가벼운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이정변기요법: 분위기 전환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키는 요법으로 강박증에서는 고무밴드 하나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강박적인 생각이 들 때 손목에 차고 있다가 한 번씩 당겨 주는 것입니다. 자극을 통해서 강박사고를 벗어나게 도와주는 것입니다. 사고중지학이라고 해서 인지행동치료에서도 하는 방법입니다.
- 경자평지요법: 놀란 마음을 차츰차츰 안정시켜주는 요법으로 자극을 주고 그것을 하지 못하게 막는 방법을 써서 차츰 완화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강박적인 행동을 하고 싶을 때 그것을 제지하는 것입니다. 제지해도 강박사고가 어떤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경험하게 하는 것입니다. 강박증 환자들은 무질서와 오염에 대해 파탄적인 생각을 하는데, 그런 생각이 사실은 기우에 지나지 않음을 학습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물론 이 치료는 쉽지 않아 주변인들의 격려와 지지가 필요합니다.
- 지언고론요법: 환자에 대한 따뜻한 관심과 전문지식을 갖춘 상태에서 대화로 환자의 근심걱정을 덜어내는 요법입니다. 공감능력과 인내심을 바탕으로 한 대화로 환자의 근심걱정을 없애고 질병을 이겨내려는 의지를 북돋는 과정입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스토리텔링과 리프레임 기법이 필요합니다.
강박증에 도움되는 음식
강박증을 음식으로 치료할 수는 없지만 도움은 될 수 있습니다. 양방에서는 세로토닌을 권하는데 세로토닌을 직접 먹을 수 없으므로 세로토닌 전구체인 트립토판이 풍부한 멸치, 바나나, 견과류, 시금치 등이 좋습니다. 강박증은 우울감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식품은 우울감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강박증 환자들은 초조, 불안, 긴장감을 많이 느끼는데 마그네슘, 칼슘이 부족하면 이 증상들이 심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칼슘, 마그네슘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좋습니다.
주의해야 할 사항은 건강한 음식에 대해 건강하지 않은 집착을 보이는 건강식품 강박증이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움되는 음식에 의지하기 보다는 제철의 신선한 음식과 함께 적절히 섭취하시기를 권합니다.
※이 기사는 유튜브 채널 [아보카도TV] 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인터뷰 원본. [강박증 통합편]한의학으로 해결하는 강박증
편집. 아보카도 편집팀
'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스트레스! 불안장애, 건강 염려증까지 유발한다 (0) | 2020.03.18 |
---|---|
한의학으로 본 소아 ADHD (0) | 2020.02.23 |
한의학으로 보는 불안장애 (0) | 2020.02.22 |
한의학으로 본 어지럼증 (0) | 2020.02.22 |
한의학으로 본 소아불안장애 - ③ 부모의 역할 (0) | 2020.01.29 |